생활

벌에 쏘였을때 증상과 응급처치 방법은?

by Nature Of The Universe 2023. 6. 16.

야외활동이 점점 늘어나는 요즘 시기에는 벌을 조심해야 합니다. 벌에 쏘인 경우, 심하면 사망까지 이를 수 있어 초기 대응이 아주 중요한데요. 그렇다면 벌에 쏘였을 때 어떤 증상이 있고, 또 응급처치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간단하게 알아봅시다.

 

벌에 쏘였다면?

 

사람들이 곤충 중에서도 특히 벌을 매우 무서워하는 이유는 무시무시한 독침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독을 지닌 곤충들은 거미, 전갈, 지네 등 아주 다양하지만 이런 곤충들은 움직임이 느리고 날지도 않기 때문에 도망만 잘 치면 안전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벌은 사람이 달리는 속도보다 빠르게 날 수 있고, 사람이 도망쳐도 계속 쫓아가서 공격하기 때문에 다른 독충들과는 달리 엄청난 수의 무리를 짓고 다니기도 해서 수많은 사람이 독침 세례를 당한 사례가 많습니다.

 

말벌 종류에 쏘였다면 응급조치 후 바로 병원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꿀벌과 달리 말벌은 독침을 여러 번 쏠 수 있고, 꿀벌보다 독성이 약하지만 독의 양이 많기 때문에 쏘이면 사망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합니다.

 

다만 꿀벌에 쏘였다면 대부분의 일반인은 병원에 갈 필요까지는 없어서 약국에서 약을 구해 치료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말벌과 꿀벌에 쏘였을 때 증상을 알아봐야겠죠? 

 

꿀벌에 쏘였을때 증상

 

즉각적인 통증: 벌에 쏘이면 일반적으로 통증이 있으며 통증은 일반적으로 벌에 쏘인 직후에 느껴집니다.

붓기: 쏘인 부위 주변이 부어오르고 붉어지며 자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붓기는 봉독에 대한 개인의 민감도에 따라 심각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가려움증 : 가려움증은 쏘인 부위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흔한 증상입니다. 온화하거나 강렬할 수 있으며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발적 및 온기: 쏘인 곳 주변의 피부가 붉게 보이고 만졌을 때 따뜻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염증: 염증은 봉독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이며 국부적인 부기와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융기된 피부 반응: 어떤 사람들은 쏘인 부위에 융기된 붉은 돌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것은 팽진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인 반응입니다.

흰색 또는 투명한 물집 형성: 경우에 따라 쏘인 부위에 작은 물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투명하거나 흰색 액체로 채워져 있습니다.

다른 부위의 가려움증 및 발진: 일부 개인의 경우 벌에 쏘이면 벌에 쏘인 부위 이외의 부위에 가려움증과 발진을 유발할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으로 알려져 있으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호흡 곤란 또는 삼키기: 드문 경우지만 벌침에 심한 알레르기가 있는 개인은 호흡 곤란이나 삼킴 곤란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아나필락시스로 알려진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의 징후입니다. 이것은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의학적 응급 상황입니다.

 

말벌에 쏘였을때 증상

 

즉각적인 강렬한 통증: 말벌에 쏘이면 일반적으로 매우 고통스럽고 통증은 종종 벌에 쏘인 것보다 더 강렬하다고 설명됩니다. 통증은 쏘인 직후에 느껴집니다.

부기: 쏘인 부위 주변이 빠르게 부풀어 오르고 붉어지고 부으며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부기는 상당할 수 있으며 쏘인 부위를 넘어 확장될 수 있습니다.

가려움증 및 자극: 쏘인 부위가 가렵고 자극적이며 며칠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발적 및 온기: 쏘인 곳 주변의 피부가 붉게 보이고 만졌을 때 따뜻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융기된 팽진의 형성: 팽진이라고 하는 융기된 붉은 돌기가 쏘인 부위에 생길 수 있습니다. 팽진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으며 중앙 천자 표시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물집 형성: 어떤 경우에는 쏘인 부위에 물집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물집은 투명하거나 황색 액체로 채워질 수 있습니다.

전신 반응: 흔하지는 않지만 일부 개인은 말벌에 쏘이면 전신 반응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에는 현기증, 두통, 메스꺼움, 구토, 두드러기, 호흡 곤란 및 심한 경우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증상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응급처치 방법은?

 

벌에 쏘이면 우선 빠르게 벌침을 제거해줘야 합니다. 벌침을 뺄 때는 카드 같은 얇고 단단한 물건으로 물린 자리 주변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해 줍니다. 이때 무리하게 힘을 주어서 빼지 말아야 합니다. 힘을 주어서 빼게 되면 침 끝에 있는 남은 독이 몸 안으로 더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살살 밀어서 빼내야 합니다. 

 

벌침을 제거한 다음에는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상처 부위를 깨끗이 씻겨내주고, 얼음주머니를 이용해 얼음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얼음찜질을 해주는 이유는 독이 우리 몸에 퍼지는 것을 막아주고 부기를 완화시켜 줍니다. 이때 상처부위가 가렵다고 해서 긁으면 부종이 더 심해지고 감염 위험이 높아지게 되니 이런 행동은 삼가셔야 합니다.

 

벌에 쏘였을때 도움이 되는 약이 있는데 바로 항히스타민제와 합성 부신피질호르몬제입니다. 

항히스타민제는 발적, 부종, 두드러기, 가려움 드으이 증상을 완화시켜 주고, 합성 부신피질호르몬제는 쏘인 부위의 가려움증과 통증을 완화시켜 줍니다.

 

벌에 쏘이는 것을 예방하려면 당연히 벌을 피해야 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벌을 피할까요?

 

밝은 색상의 옷 착용과 향이 강한 향수를 피해야 합니다.

대게 말벌과 꿀벌은 자신의 벌집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람을 쏘는 것이기 때문에 벌집을 피해서 다녀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