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가 좋지 못하거나, 밤에 자고 일어났을 때 우리 목의 이물감이 있는 것같이 느껴지는데, 이 이물질이 바로 가래입니다. 한자로는 객담이라고도 합니다.
가래가 생겼을때 뱉지 못하고 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순물이고 비위생적이라고 생각에 삼키면서도 뭔가 찝찝한데요. 또 소문에 의하면 가래를 삼키게 되면 폐결핵에 걸리게 된다는 소리도 있는데요. 정말 가래를 삼켜도 건강에는 이상이 없을까요?
가래가 몸에 나쁠까?
가래는 아무런 질병이 없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분비가 됩니다. 그러나 이렇게 생산되는 양은 적기도 하고,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삼키기 때문에 가래 배출이 거의 필요가 없지만, 가래가 있더라도 뱉지 않고 삼켜버리는 경우가 많아서 마른기침으로 여기기 전에 다시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가래는 세균, 먼지와 같은 것들이 들어올때 호흡기를 청소해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가래가 없다면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호흡기에 중요한 역할을 해서 없으면 안 됩니다.
가래를 삼켜도 무방할까?
가래는 삼키는 것보다 배출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가래는 대개의 경우 삼켜도 별 문제가 없습니다. 가래에 세균이 있을 수도 있지만, 이 정도의 세균은 위액에 의해 대부분 죽습니다. 또한, 삼킨 가래는 여러 소화기관을 거치면서 다 분해가 됩니다.
하지만 질환에 따른 가래의 성질과 색이 달라서 마냥 삼키기에도 애매합니다.
가래에 혈액의 양도 많고 반복되는 경우: 결핵, 기관지 확장증, 진균증, 폐농양
혈액의 양은 적지만 반복되는 경우: 폐암, 기관지 확장증, 승모판 협착증, 반복성 폐경색증
가래에 실모양의 혈액이 붙어 있는 경우: 급, 만성 기관지염
희거나 분홍색 거품의 가래: 심장질환, 폐부종
녹슨 쇠의 색깔: 크루프성 폐렴, 폐디스토마 등
녹색 가래: 건락성 폐렴, 담즙성 폐렴
노란 가래: 폐농양
진한 황갈색 및 검은색: 폐암
붉은 벽돌색 가래: 프리트레테르 폐렴
평상시에 목에 가래가 나온다면 만성기관지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비흡연자이고 건강한데 목에 가래가 낀 것처럼 답답하고 헛기침이 나오는 증세가 반복된다면 역류성 인, 두후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가래를 배출하는 방법은?
수분 유지
수분, 특히 물, 허브차 또는 육수와 같은 따뜻한 액체를 충분히 마시면 점액을 묽게 만들고 쉽게 배출할 수 있습니다.
증기 흡입
증기를 흡입하면 점액을 풀어주고 배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그릇에 뜨거운 물을 채우고 그 위에 기대어 머리를 수건으로 덮어 증기를 가둡니다. 5-10분 동안 심호흡을 합니다.
식염수 비강 세척
식염수나 네티팟을 사용하여 비강을 부드럽게 씻어내어 점액을 제거하고 코막힘을 완화합니다.
온찜질
가슴이나 부비강에 온찜질을 하면 점액을 풀어주고 배액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뜻한 수건이나 온열 패드를 사용하여 한 번에 몇 분 동안 적용하세요.
거담제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거담제는 점액을 묽게 만들어 기침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적절한 위생
손을 자주 씻고 얼굴을 만지지 않도록 하여 점액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세균의 확산을 줄이는 등 위생을 철저히 합니다.
활동 유지
걷기 또는 가벼운 운동과 같은 가벼운 신체 활동에 참여하면 호흡기를 자극하고 점액의 움직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따뜻한 음료수
허브차, 레몬과 꿀이 들어간 따뜻한 물 또는 국물과 같은 따뜻한 음료를 마시면 목을 진정시키고 점액 배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머리 높이기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때 여분의 베개를 사용하거나 침대 머리 부분을 높여 머리를 약간 올린 상태로 유지하세요. 이 자세는 점액이 목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을 돕습니다.
자극물 피하기
담배 연기, 강한 연기, 오염 물질과 같은 환경 자극물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십시오. 점액 생성 및 충혈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에 쏘였을때 증상과 응급처치 방법은? (0) | 2023.06.16 |
---|---|
강아지가 좋아하는 음식과 독이 되는 음식은? (0) | 2023.06.16 |
커피의 역사, 커피는 언제부터 마셨을까? (0) | 2023.06.16 |
식곤증, 당뇨와 연관이 있을까? (1) | 2023.06.16 |
항염증 효과를 지닌 10가지 음식은? (0) | 2023.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