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곤증이란 음식을 먹은 후 졸음이 오는 현상을 말합니다. 음식을 먹고 나서 기운이 솟으면서 날아다니기보다는, 오히려 나른해지고 엄청난 졸음이 오게 됩니다. 이로 인해 업무나 학업에 지장을 받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왜 밥을 먹고 나서 갑자기 졸음이 쏟아지는 걸까요?
식곤증의 원인은?
식곤증은 밥을 먹고 난 후, 소화를 하기 위해 음식이 위장 쪽으로 쏠리게 되면서 뇌로 가는 혈액이 부족해져서 발생하게 됩니다. 뇌로 산소와 영양분이 잘 가지 않아 졸음이 오게 되는 것인데요. 음식에 들어있는 트립토판이라는 성분이 몸속에서 세로토닌으로 바뀌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식곤증을 줄이려면 아침 식사는 적응 양이어도 꼭 먹어주는 게 도움이 됩니다. 점심때 갑자기 먹으려고 하면 밤새 비워진 위장에 음식이 들어가게 되면 소화기관에 무리가 생기고 과식을 하기가 쉬워집니다. 그래도 나른하다면 스트레칭을 해주거나, 주변을 산책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겠죠. 산책을 하다 보면 뇌에 깨끗한 산소가 공급이 돼서 잠을 깨는 데 확실한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식곤증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당뇨병 발병 위험이 큰 상태일 수도 있습니다. 식후 혈당이 급격하게 올라갔을 때 신체는 피로와 졸음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젊은 청년분들은 단순히 춘곤증이나 식곤증으로 넘기기 쉬운데, 최근에도 젊은 층의 당뇨 발병률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어 한번쯤은 의심을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혈당 급격히 높아졌다 떨어지면 당뇨병 위험
밥을 먹고 나서 몸속의 혈당이 급격히 치솟았다가 빠르게 내려가는 현상을 '혈당 스파이크'라고 합니다. 정식적인 의학 명칭은 아니지만, 최근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는 단어인데요. 하지만 이러한 증상은 꼭 당뇨병 환자에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닙니다. 충분히 건강한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으며, 현재 당뇨를 겪고 있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혈당 스파이크를 겪게 된다면 앞으로 당뇨에 걸릴 위험이 정상인과 비교했을 때 월등히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 증상을 가볍게 넘길 것이 아니라 당뇨병 전조증상이라고 보고 식습관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와 같은 상황이라면, 현재 공복혈당이 정상이더라도 향후 당뇨병 발병에 주의해야 합니다.
- 공복혈당과 식후 1시간 혈당의 폭이 50mg/dl 이상 차이 나는 경우 |
- 식후 2시간 이내의 혈당이 150~160mg/dl로 급격히 치솟는 경우 |
그렇다면 식곤증을 덜 오게 하는 음식이 있을까요?
식곤증 안 오는 음식은?
균형 잡힌 식사
복합 탄수화물, 저지방 단백질 및 건강한 지방이 혼합된 균형 잡힌 식사를 선택해 주세요. 이것은 소화 속도를 늦추고 졸음에 기여할 수 있는 혈당 수치의 급격한 급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
통곡물, 과일, 야채, 콩류와 같은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포함합니다. 섬유질은 식사량을 늘리고 포만감을 촉진하며 소화 속도를 늦추어 혈당 수치를 조절하고 식후 졸음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단백질 공급원
가금류, 생선, 두부, 콩 또는 렌즈콩과 같은 기름기 없는 단백질 공급원을 식사에 포함시키세요. 단백질은 소화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혈당 수치를 안정시켜 갑작스러운 에너지 충돌과 졸음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지방
식사에 아보카도, 견과류, 씨앗, 올리브 오일과 같은 건강한 지방 공급원을 포함하세요. 지방은 소화 속도를 늦추고 만족감을 유지하며 지속적인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영양이 풍부한 식품
필수 비타민, 미네랄 및 항산화제를 제공하는 영양이 풍부한 식품에 중점을 둡니다. 여기에는 다채로운 과일과 채소, 통곡물, 저지방 단백질이 포함됩니다. 영양 결핍은 피로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면 전반적인 에너지 수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분 공급
식수 및 기타 수화 액체를 통해 하루 종일 적절하게 수분을 유지합니다. 탈수는 피로감과 졸음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적당량: 과식하거나 과도하게 많은 양의 식사를 피하세요. 소화 시스템에 부담을 주고 졸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정제 설탕 피하기
설탕 음료, 페이스트리 및 사탕과 같이 정제된 설탕이 많이 함유된 음식과 음료의 섭취를 제한하세요. 이로 인해 혈당 수치가 급격하게 급상승하고 졸음을 유발할 수 있는 충돌이 뒤따를 수 있습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래 삼켜도 상관없을까? (1) | 2023.06.16 |
---|---|
커피의 역사, 커피는 언제부터 마셨을까? (0) | 2023.06.16 |
항염증 효과를 지닌 10가지 음식은? (0) | 2023.06.16 |
제로콜라의 위험성은 과연? (0) | 2023.06.16 |
비듬 생기는 원인은 '이 음식'에 있다. (해결방법) (0) | 2023.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