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규제 완화 등으로 올해 전국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작년 하반기 대비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쟁률이 올라가면서 지역별 격차도 더 벌어지면서 양극화가 심해졌는데요. 한번 알아봅시다.
올해 1~5월 전국 아파트 일반분양 물량은 2만 6680 가구로 1순위 청약에 18만 5691명이 신청하며 평균 7.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이게 저번 연도 하반기 전국 청약 1순위 평균 3.8대 1과 비교해 배 가까이나 높아진 경쟁률을 볼 수가 있는데요.
서울 1순위 청약 경쟁률은 지난해 하반기 5.8대 1에서 올해 49.8대 1로 약 8배 가까이 상승을 했습니다. 일반공급된 981 가구에 1순위 청약자 4만 8899명이나 몰렸는데요. 같은 기간 충북의 1순위 경쟁률은 1.3대 1에서 26.4대 1로, 경남은 7.8대 1에서 27.1대 1로 올랐습니다.
지역과 단지별로 청약 성적은 크게 엇갈렸습니다. 인천은 일반공급 2621가구 모집에 2247명이 신청해 1순위 경쟁률 0.9대 1에 그쳤고, 지방에선 대구가 512 가구 모집에 나섰지만 1순위 청약자는 13명에 불과했습니다.
대출 금리가 아직 높지만 더 크게 오르지 않고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청약 및 대출 규제가 완화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이 됩니다.
경쟁률이 올라가면 좋을까요?
가치 상승
경쟁률이 높다는 것은 해당 아파트의 가치가 인정받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높은 수요로 인해 가치가 상승하고, 장기적으로 부동산 투자로서의 가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시설과 서비스 개선
높은 경쟁률은 개발자나 건설업체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해지면 시설과 서비스의 개선을 위해 추가적인 노력과 투자를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로 인해 입주민들의 생활 편의성과 품질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주거 환경 개선
높은 경쟁률은 해당 아파트가 인기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기 있는 아파트는 주변의 주거 환경을 향상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역 상권의 활성화, 교통 편의성의 향상, 공원이나 문화시설의 개선 등이 예시입니다.
하지만 경쟁률이 높아지면 입주를 위한 경제적인 부담이 커지거나, 선정 과정에서의 스트레스 등 부정적인 측면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경쟁률이 높아지면 청약의 성공 확률이 낮아질 수 있으며, 시장의 변동성 등에 따라 가격 등이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서울에만 급증.. 다른 지역은 괜찮을까?
가격 상승
경쟁률이 높을수록 입주를 원하는 수요자들의 수가 많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아파트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하면 입주를 원하는 사람들이 가격을 높여서라도 아파트를 얻으려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직성의 감소
경쟁률이 한정된 지역에 몰리면 해당 지역 내의 입주 기회가 제한되므로,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직업적인 유연성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소수자의 입주 기회 제한
경쟁률이 높을수록 입주 기회가 소수의 사람들에게 집중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제적으로 불리한 사람들이나 일부 사회적 약자들이 입주 기회를 놓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동산 투기 활성화
경쟁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부동산 투기가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주택을 투기적인 목적으로 구매하는 행위로써 주택 가격을 인공적으로 높여주며, 주거 환경과 지역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 정부나 관련 기관은 주택 공급을 늘리는 정책이나 다양한 입주 자격 제도 등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입주 기회의 공정성을 높이고, 지역 간 입주 기회의 균형을 맞추는 노력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마 효능 10가지와 영양 성분, 육수용인줄 알았던 놀라운 효능 (0) | 2023.06.05 |
---|---|
오리고기 효능 10가지와 칼로리, 부작용은? (0) | 2023.06.05 |
치아씨드 효능10가지와 먹는방법 (1) | 2023.06.04 |
대상포진 초기증상, 원인과 예방법 (0) | 2023.06.04 |
메타버스란? 플랫폼 종류5가지와 문제점 (0) | 2023.06.04 |
댓글